‘이태원 클라쓰’는 광진 작가가 연재한 동명의 웹툰을 원작으로, 2020년 JTBC에서 드라마로 방영되어 큰 반향을 일으킨 청춘 성장 서사입니다. 기존 복수극과 달리, 자신의 신념과 방식으로 사회의 벽을 넘는 젊은이들의 이야기로 사랑받았으며, 외식 산업이라는 소재를 통해 경쟁과 윤리, 다양성의 문제까지 함께 다루었습니다. 이 글에서는 원작 웹툰의 주요 특징, 드라마화 과정, 그리고 콘텐츠가 사회에 남긴 의미를 분석해보겠습니다.
원작 웹툰의 핵심: 신념으로 세운 브랜드 (웹툰)
‘이태원 클라쓰’는 한 청년 ‘박새로이’가 부조리한 현실과 권력에 맞서 오직 신념과 노력만으로 자수성가해가는 이야기를 담고 있습니다. 아버지의 억울한 죽음, 퇴학과 전과자 신분, 그리고 절대 권력인 장가(長家) 그룹에 맞서는 과정을 청춘의 열정과 전략으로 풀어냅니다. 광진 작가는 캐릭터 서사에 매우 강한 집중을 보이며, 각 인물들의 상처, 성장, 선택을 구체적으로 그려냅니다. 특히 주인공 새로이의 성격은 단순한 '착한 청년'이 아니라, 원칙을 끝까지 지키며 손해를 감수할 줄 아는 강단 있는 인물로 설계되어 독자들에게 깊은 인상을 남깁니다. 또한 웹툰은 ‘단밤’이라는 작은 술집을 시작으로 브랜드화까지 이어지는 창업 서사를 통해, 청년 창업의 현실적 어려움, 팀워크, 자금 문제 등을 사실적으로 풀어냅니다. 이는 한국 사회에서 ‘성공 신화’가 무엇으로 가능한가에 대한 질문을 던지는 동시에, 정의로 성공하는 길이 현실에서 가능한지를 탐색하는 구조로 설계되었습니다.
드라마화: 캐릭터 확장과 감성 연출 (청춘 자립)
웹툰 원작의 강점을 바탕으로 2020년 제작된 드라마 ‘이태원 클라쓰’는 JTBC에서 방영되어 시청률과 화제성 모두를 잡았습니다. 박서준이 박새로이 역을 맡아 캐릭터의 냉철한 정의감과 따뜻한 인간미를 잘 표현했고, 김다미(조이서 역), 유재명(장대희 역) 등 배우들도 각자의 캐릭터를 입체적으로 소화해 극의 몰입도를 높였습니다. 드라마는 원작의 서사를 충실히 따르면서도, 감정선과 캐릭터 간의 관계를 더욱 섬세하게 풀어냅니다. 특히 조이서라는 캐릭터는 원작보다 더 비중 있게 설정되어 Z세대 특유의 가치관과 능동성을 보여주는 역할을 했습니다. 또한 드라마는 음악과 영상미, 편집 리듬을 활용하여 서사의 흐름을 더욱 극적으로 구성합니다. OST인 가호의 「시작」은 캐릭터들의 열정과 좌절을 상징하며, 장면 하나하나에 감정을 불어넣는 데 큰 역할을 했습니다. 무엇보다도, 드라마는 성소수자, 다문화 가정, 전과자 등 다양한 사회 소수자 캐릭터를 전면에 배치하며 한국 드라마에서 보기 드문 다양성을 시도했고, 이를 따뜻하고 존중하는 시선으로 연출해 국내외 시청자들의 큰 공감을 얻었습니다.
이태원이라는 공간과 시대정신 (드라마화)
‘이태원 클라쓰’의 또 다른 주인공은 바로 ‘이태원’이라는 공간 자체입니다. 이태원은 다양성, 외국인, 도전, 자유 등의 상징으로 활용되며, 기존의 강남 중심 서사에서 벗어나 주류 바깥에서도 성공이 가능하다는 상징적 메시지를 전달합니다. 첫째, 장가 그룹 대 단밤 팀이라는 대립 구조는 단순한 갑을 관계를 넘어, 한국 사회의 기득권 대 비주류, 기성세대 대 신세대의 구조를 은유적으로 표현합니다. 박새로이는 이태원이라는 공간을 기반 삼아, 오직 ‘사람’과 ‘신뢰’로 시스템을 하나씩 무너뜨려 나갑니다. 둘째, 청년 세대의 자립과 자각이 강조됩니다. 기존 드라마들이 로맨스와 가족 관계 중심의 서사를 지향했다면, ‘이태원 클라쓰’는 오롯이 ‘개인의 신념과 선택’에 집중합니다. 이는 지금의 2030 세대가 열광한 이유이기도 하며, 그들의 현실과 맞닿은 고민을 콘텐츠가 함께 나눴기 때문입니다. 셋째, 글로벌 콘텐츠로서의 가능성을 입증했습니다. 넷플릭스를 통해 전 세계에 공개되며 일본, 동남아 등에서 큰 인기를 끌었고, ‘K-청춘’, ‘K-자립’ 서사의 대표작으로 자리매김하게 되었습니다. 단순한 스토리텔링을 넘어, 한국 콘텐츠가 사회적 담론을 형성할 수 있는 도구로 기능했음을 보여줍니다.
웹툰 ‘이태원 클라쓰’는 정의, 자립, 다양성이라는 가치를 청춘 서사로 풀어낸 작품이며, 드라마로의 확장을 통해 더욱 폭넓은 공감을 이끌어냈습니다. 복수와 성공이라는 전형적 플롯을 새롭게 재해석한 이 콘텐츠는 한국 웹툰의 스토리텔링 역량과, 그 영상화 가능성을 입증한 대표 사례로 남습니다. 앞으로도 웹툰 기반 콘텐츠가 사회와 시대를 관통하는 메시지를 전하며 글로벌 경쟁력을 높여가는 데 좋은 본보기가 될 것입니다.